신안 갯벌·보성-순천갯벌 등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 등재 해양수산부, 갯벌 생태계서비스 가치 최소 17조8121억 발표 정 의원 “간척 중단하고 역간척으로 사라진 갯벌 되살려야”
전남도의회 농수산위원회 정영균 의원(더불어민주당/순천1)은 지난 6일 제368회 임시회 해양수산국 소관 업무보고에서 “1960년대부터 식량 확보를 위해 메웠던 간척지를 다시 갯벌로 복원하는 역간척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”고 주장했다. 정 의원은 “해양수산부가 지난 2020년 기준 우리 갯벌의 생태계서비스 가치는 최소 17조8,121억 원에 달한다고 발표했었다”며, “이처럼 세계적으로도 한국 갯벌은 생물다양성과 멸종위기 철새의 기착지로 가치를 인정받아 2021년 전남 신안 갯벌, 보성-순천갯벌을 포함한 총 4곳이 한국의 갯벌이라는 이름으로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에 등재되었다”고 중요성을 논설했다. 정영균 의원 “우리나라 갯벌은 1,300만 톤의 탄소를 저장하고 연간 26만 톤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탄소흡수원으로 그 효용성이 증명되었다”며, “전남도 차원에서 탄소중립에 발맞춰 갯벌 식생·복원 사업을 확대 강화해야 한다”고 강조했다. 최정기 해양수산국장은 “해양수산부에 역간척 사업을 건의한 상태로 적극 추진하도록 하겠다”고 답변했다.(정영균 의원 010-3480-6779) /이민행 대표기자 (계열회사 노령신문 蘆嶺新聞)
<저작권자 ⓒ 서상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>
댓글
10 관련기사목록
|